‘플랫폼 공동 활용’ 업무협약
충북·평창·김포 이어 네번째
오세훈 “韓 교육복지 모델로”
인천시 학생들도 앞으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서울런’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정복 인천시장은 22일 시청에서 서울런 플랫폼 공동 활용과 운영 노하우 공유 등에 협력하는 내용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충북도와 강원 평창군, 경기 김포시에 이어 서울런을 활용하는 네번째 서울 외 지방자치단체가 됐다.
2021년 도입된 서울런은 취약계층 학생들이 유명 인터넷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서울시의 대표 교육 사다리 정책으로, 현재까지 3만 3000여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서울시는 인천시에 서울런 플랫폼 공유와 정책도입을 지원하고, 인천시는 이를 바탕으로 지역 내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사교육 부담을 줄이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이날 협약식 인사말에서 “서울런은 이제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의 교육복지 모델로 확장하고 있다. 이제 인천의 청소년들도 서울런과 함께 더 큰 세상을 향한 꿈을 꾸고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게 됐다”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더 많은 도시와 손을 잡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에 따르면 2025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서울런을 수강한 응시자 1154명 중 782명이 대학에 합격했다.이 가운데 서울 11개 주요 대학 및 의·약학, 교대·사관학교 등 특수목적 계열 진학 인원은 173명으로 2024년(122명)보다 41.8% 늘었다.
안석 기자